삼성전자·SK하이닉스 더 사도 됩니다, AI버블 속지 마세요ㅣ이완수 그레너리투자자문 대표

외국인 5조 이상 대량 매도
AI 버블 논쟁 & AI 밸류체인 변동성
삼성전자·SK하이닉스·네이버·현대차의 밸류에이션
배당 시즌 앞둔 금융·보험·지주사 랠리
전력 인프라(효성중공업·LS일렉트릭)·의료 AI(루닛 등)

그레너리투자자문 이완수 대표와 함께
한 번에 진단합니다.

1️⃣ 외국인 5조 매도, 왜 이렇게 파는가?

이번 주에만 외국인이 5조 원 넘게 순매도

한국만의 문제가 아니라 일본·대만·홍콩·중국·미국까지

S&P500이 이미 연초 대비 +16% 상승해 있는 상황에서
→ 미국 금융기관들이 연말 수익 실현 + 포트폴리오 정리 들어간 구간

쇼핑 시즌(소비)/배당 시즌에 대한 기대보다
이미 지수 상승과 평가이익으로 목표 수익을 채워서
→ 당연한 연말 정리 수순으로 보는 게 합리적이라는 설명

이완수 대표 의견:

국내 펀더멘털은 여전히 양호 + 저평가 구간,
외국인 매도 종료 후 다시 유입될 자금 여력 충분

개인투자자(‘불개미’)가 비어있는 자리를 메우고 있지만
**“우리가 영원히 독립투사처럼 버틸 필요는 없다”**는 메시지도 함께 짚어 드립니다.

2️⃣ 코스피 연말 전망 & 실적 시즌 해석법

코스피는 당분간 박스권 전망

대략 3,900 ~ 4,200선 박스 유지해도 “잘 버티는 그림”

실적 시즌인데,

실적 잘 나와도 빠지고,

실적 안 나와도 빠지는 구간…

실적을 볼 때는 3가지를 동시에 봐야 한다고 강조:

3분기 실적이 컨센서스를 얼마나 맞췄는가

2025~26년 가이던스(전망) – 특히 트럼프 관세 리스크 등

현재 밸류에이션(주가 레벨) – 이미 너무 비싼지 여부

예) 미국의 팔란티어는 PER이 600배,
일부 성장주는 “좋은 실적”이 나와도 이미 가격이 너무 올라 있는 상태

정리:
지금은 “성장주니까 괜찮겠지”가 아니라
실적 + 가이던스 + 밸류에이션 3박자를 꼭 같이 봐야 하는 구간.

3️⃣ 배당 시즌 앞둔 금융·보험·지주사 강세

요즘 KB금융 신고가 등 금융·보험·지주사가 강세인 이유:

연말 배당 시즌 도래

정부의 지배구조 개선 드라이브, 배당소득세 개편 기대감

금융/보험 실적 자체도 의외로 좋음

시장이 흔들릴 때,
“배당 + 방어 + 실적” 세 가지를 동시에 보는 자금이
금융주·보험주로 몰리는 구조로 해석.

4️⃣ AI 버블 논쟁: 지금은 “버블 시기”가 아니라 “인프라 구축 단계”

도이체방크가 AI 종목 숏포지션 검토,
시장에는 AI 버블론이 계속 나오지만

이완수 대표의 시각:

지금 AI는 글로벌 인프라를 깔고 있는 단계

인프라만 먼저 까는 단계에서는 매출·이익이 당장 눈에 안 보이기 때문에
→ 버블 논쟁이 많을 수밖에 없음

진짜 버블인지 아닌지는
인프라 구축 이후, 본격 매출이 붙을 때 판단해야 한다

버블 근거도 매번 바뀜

반도체 오버공급 → 하이퍼스케일러 vs 나머지 70~80% 이익 격차 → 레버리지/지분 스왑 구조 등

미국의 ‘스타게이트 프로젝트’(5년 5,000억 달러 규모 AI 인프라 투자),
오픈AI·엔비디아·마이크로소프트 간 지분/계약 구조가
향후 진짜 버블 촉매가 될 수도 있다고 분석.

5️⃣ 국내 AI·빅테크 밸류에이션: 버블 논의 “시기상조”

국내 빅테크 AI 버블 논쟁에 대해:

“버블이라고 부르기엔 아직 밸류에이션을 뽑을 만한 실체가 부족하다”

제대로 된 대형 데이터센터/AI 센터도 거의 없음

아직도 대부분은 기존 광고·커머스·서치 사업 기반으로 숫자를 내는 상황

그럼에도 상대적으로 밸류가 정상화된 종목 vs 아직 여유가 있는 종목 구분:

삼성전자: PER 약 20배 → “정상화된 구간”

네이버:

올해 영업이익 추정 약 2.2조, PER 약 22배, PBR 1.57배

리포트 평균 목표주가 약 33만 원 (고점 40~50만 원 제시 하우스도 있음)

AI 매출이 본격적으로 숫자로 찍히기 전까지는
→ 기존 사업(광고·이커머스·서치)에서 얼마나 더 효율을 높이느냐가 관건

SK하이닉스: PER 14배 수준 → 최소 18배 정도까지는 열려 있다는 뉘앙스

현대차: 로보틱스·미래차 모멘텀 감안 시 PER 10배 수준은 여전히 저평가 구간이라는 평가

국내에서 “빅테크발 AI 버블”을 논하는 건 아직 시기상조라는 한 줄 정리.

6️⃣ 미국/글로벌 메가테크·AI 종목 PER 비교

애플·마이크로소프트·메타·아마존

PER 대략 20~35배 구간

“이렇게 큰 기업이 이 정도밖에 안 돼?” 싶을 정도로
실적 대비 주가가 상대적으로 저평가라는 분석

엔비디아: PER 약 50배

테슬라: 200배 이상

팔란티어: 800배 수준
→ 앞으로 AI 투자할 땐 “버블인가?” 라는 뉴스보다,
각 종목의 PER 레벨을 보고 옥석 가리기가 필요하다는 메시지.

7️⃣ 전력 인프라 & 의료 AI 섹터

전력 인프라(효성중공업·LS일렉트릭 등)

전력 인프라 수요는 실제 매출·이익으로 연결되는 좋은 섹터

미국·한국 모두 전력망·효율화 투자 필요성이 커진 상황

다만 단기간 너무 많이 올라

효성중공업 PER 40배 이상
→ “전망은 좋지만, 한 번 밸류에이션을 돌아보고 가야 할 타이밍”

의료 AI(루닛 등)

최근 간만에 강한 반등

하지만 이 섹터는 정부 정책·수가·규제 영향이 절대적

아직 정부 지원·정책 구체화가 부족한 단계라
→ 조금 더 기다리면서, 정책 모멘텀을 확인하고 들어가는 쪽이 낫다는 의견

#삼성전자 #SK하이닉스 #AI버블 #HD현대일렉트릭 #두산에너빌리티 #효성중공업 #LS일렉트릭 #AI거품 #반도체 #네이버 #금융주 #보험주 #지주사 #이완수 #그레너리투자자문

◎ 출연진 : 이완수 그레너리투자자문 대표
◎ 진행자 : 이근형 앵커
◎ 제작진 : 남기태 PD 심민경 AD 전소연 FD 변미현 FD 오창화 FD Receive SMS online on sms24.me

TubeReader video aggregator is a website that collects and organizes online videos from the YouTube source. Video aggregation is done for different purposes, and TubeReader take different approaches to achieve their purpose.

Our try to collect videos of high quality or interest for visitors to view; the collection may be made by editors or may be based on community votes.

Another method is to base the collection on those videos most viewed, either at the aggregator site or at various popular video hosting sites.

TubeReader site exists to allow users to collect their own sets of videos, for personal use as well as for browsing and viewing by others; TubeReader can develop online communities around video sharing.

Our site allow users to create a personalized video playlist, for personal use as well as for browsing and viewing by others.

@YouTubeReaderBot allows you to subscribe to Youtube channels.

By using @YouTubeReaderBot Bot you agree with YouTube Terms of Service.

Use the @YouTubeReaderBot telegram bot to be the first to be notified when new videos are released on your favorite channels.

Look for new videos or channels and share them with your friends.

You can start using our bot from this video, subscribe now to 삼성전자·SK하이닉스 더 사도 됩니다, AI버블 속지 마세요ㅣ이완수 그레너리투자자문 대표

What is YouTube?

YouTube is a free video sharing website that makes it easy to watch online videos. You can even create and upload your own videos to share with others. Originally created in 2005, YouTube is now one of the most popular sites on the Web, with visitors watching around 6 billion hours of video every month.